록에 밀린 재즈, 다락방에서 부활하다 — 뉴욕 언더그라운드 재즈의 약속의 땅

1970년대, 록 음악의 거센 파도에 밀려 위기를 맞던 재즈. 가난하지만 열정 넘치던 젊은 음악가들이 낡은 다락방에 모여 '다락방 운동'의 불꽃을 지폈다.

In a nutshell

    다락방 운동의 불꽃 — 뉴욕 언더그라운드 재즈의 열기

다락방 운동의 불꽃 — 뉴욕 언더그라운드 재즈의 열기

그 배고픈 젊은 재즈인들에게 청신호가 날아 들었으니, 뜻있고 힘 있는 독지가들의 도움이 그것이다. 비록 낡고 좁아 내팽개쳐져 있었던 것들이지만, 그 창고들을 쓸 만한 연습장으로 개조할 수 있었던 것이 바로 그들 덕택이었다. 그런 곳은 사업용으로서는 물론 수명을 다했지만, 손만 잘 보면 번듯한 무대로도 쓸 수 있었다. 그런 곳은 물론 흠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. 그러나 무엇보다 최고의 장점은 그런 곳을 재즈 공연장으로 탈바꿈시키는 데에 돈이 거의 필요 없었다는 사실이었다.

재능은 있으나 가난한 그 젊은 음악도들이 일대 혁신을 외치며 서로 손잡고 떨쳐 나섰으니, 그것이 그 시절의 가장 인상적 풍경인 〈다락방 운동 loft movement〉 이다. 주린 배를 움켜쥐었으면서도 싸구려 다락방에 둘러앉아 새로운 재즈에의 열망을 불태우고 있던 그들 아티스트들에게, 그 *〈운동〉*이 그들의 얄팍한 호주머니 사정을 호전시켜 주었던 것은 아니다. 그러나 록 음악이 승승장구해 가면서 급기야는 재즈의 숨통을 시시각각으로 죄어오고 있던 그때, 궁지에 몰리고 있던 재즈가 신선한 공기를 한 줄기나마 쐴 수 있었던 곳이 있었다면, 거기가 바로 *〈약속의 땅〉*이었다.

그들의 면면은 대충 이러하다:

  • 올리버 레이크, 데이비드 머레이, 해미엣 블루엣, 헨리 스레드길 등의 색소폰 주자
  • 올라 다라, 바이키다 캐롤 등의 트럼펫 주자
  • 빌리 뱅, 압둘 와후드를 위시한 현악 주자 등

1970년대 말에 재즈가 헤쳐 나간 여러 혼돈의 격랑들을 정리하고 새 어법을 창조해 내는 막중한 임무가 이들 열혈 신진 아티스트들의 숙제로 떠올랐다. 우선 이들은 자기 바로 앞 세대 가운데 진보적 그룹이 남겨준 프리 재즈적 어법을 수용했다.

Subscribe

Jazzaje의 정원에서 최신 글과 업데이트를 받아보세요.